반응형
댐의 정의
- 개념: 하천의 흐름을 막아 물을 가두어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환경개선용수, 발전, 홍수 조절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는 구조물.
- 구조물: 높이 15미터 이상의 공작물, 여수로, 보조댐 등 포함.

댐의 주요 용도
- 홍수 조절
- 기능: 강우로 인한 홍수를 댐의 홍수조절용량을 활용하여 저류하고, 하류로 서서히 방류하여 피해 최소화.
- 다목적댐: 하천 유량을 조절하여 홍수 피해를 경감시키고 필요한 수자원 확보.
- 용수 공급
- 생활용수: 가정, 공공 용수로 사용.
- 공업용수: 제조업, 냉각용 등 다양한 산업 활동에 필수적.
- 농업용수: 농촌 환경을 윤택하게 하는 필수 자원.
- 하천유지용수: 수질 보전, 하천 관리, 어업, 경관개선 등.
댐의 역기능
생태계 파괴
- 영향:
- 침전물 및 영양소 차단, 어류 및 종 이동 방해.
- 강물의 온도 및 화학적 조성 변화.
- 해양생태계 변화 및 해안 침식 가속화.
- 사례:
- 나일강 하구 축소: 1900년 이후 3㎞ 이상 축소.
- 민물 어류 종의 1/5 멸종 위기.
수질 오염 문제
- 원인: 물의 흐름 차단으로 인한 유기물 축적.
- 결과:
- 산소 부족으로 인한 물의 부패.
- 안개 발생, 냉각된 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
붕괴 및 홍수 위험
- 붕괴 사례: 20세기 동안 200여 개 댐 붕괴, 13,500명 이상 사망.
- 홍수 유발: 저수지의 물을 비가 많이 올 때 방류하여 하류 지역 범람.
사회·문화적 영향
- 거주민 반대: 평생 살던 마을과 지형 변화에 대한 거주민 반발.
- 사고 위험: 댐 수문 방류로 인한 피해.
대책 및 해결 방안
환경영향평가 및 보호 활동
- 정밀한 평가: 댐 건설 전 환경영향평가 실시.
- 생물 이전: 수몰지역 생물 다른 지역으로 이전.
지역 주민 설득 및 보상
- 보상 및 개발:
- 충분한 보상 제공.
- 댐 주변 공원 조성, 기념관 건설 등 조경 사업.
- 인공호수 개발: 휴식 공간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 제공.
이해당사자 의견 조정
- 사회적 합의 도출: 개발자, 행정기관, 협의기관, 지자체, 지역주민, 환경운동단체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의견 조정 필요.
댐은 생활에 필요한 수자원을 제공하고 홍수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생태계 파괴, 수질 오염, 붕괴 위험 등의 역기능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댐 건설과 운영 시 환경영향평가, 주민 보상 및 조경 사업, 이해당사자 간의 사회적 합의 도출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Iss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는 계속 발전해야 한다' 찬성과 반대 입장 (10) | 2024.11.09 |
---|---|
친환경 건축과 녹색건축의 중요성 (0) | 2024.07.04 |
화산폭발과 기후변화의 영향 (0) | 2024.07.04 |
아이스팩의 환경 문제 (0) | 2024.07.04 |
조류 충돌 방지법 (0) | 2024.07.04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 (0) | 2024.07.04 |
멸종위기종과 그 원인 (0) | 2024.07.04 |
골프의 인기 증가 및 환경 문제 (0) | 2024.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