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sues

그린피스: 시작과 주요 활동

by 누름돌 2024. 7. 3.
반응형

그린피스의 시작

그린피스는 원래 환경 보호가 아닌 핵실험 반대를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입니다. 1971년 캐나다 밴쿠버에서 캐나다와 미국의 반전 운동가, 사회사업가, 대학생 등 여러 환경 보호 운동가가 모여 초기 그린피스가 결성되었습니다. 당시 명칭은 '파도를 일으키지 마시오 위원회'(Don't Make a Wave Committee)로, 핵실험을 하지 말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971년 미국 알래스카주 핵실험 반대 시위를 위해 밴쿠버에서 항해를 시작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그린피스'라는 이름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그린피스의 주요 활동

  1. 고래잡이 반대 시위: 1975년 캘리포니아 연안에서 소련 포경선의 고래잡이 현장을 촬영해 국제포경위원회 런던회의에서 공개함으로써 포경 활동의 문제점을 전 세계에 알렸습니다.
  2. 레인보우 워리어 폭발 사건: 1985년 뉴질랜드 오클랜드항에서 정박 중이던 레인보우 워리어 호가 폭발해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프랑스 정보기관의 공작으로 밝혀졌고, 그린피스의 국제적 명성을 높였습니다.
  3. 환경 보호 성공 사례:
    • 1982년 국제포경위원회의 잠재적 포경 중단 결정.
    • 1993년 유엔 오존상 수상, 친환경 냉장고 '그린프리즈' 개발.
    • 2010년대 IT기업들의 100% 재생에너지 사용 선언 촉구.
    • 2015년 쉘의 북극 석유 시추 중단.
    • 2023년 '글로벌 해양조약' 체결.
  4. 한국에서의 활동:
    • 2009년 참치 살리기 캠페인.
    • 2011년 '원자력 없는 한국' 캠페인.
    • 2014년 원자력 발전업계의 책임 회피 고발.
    • 2020년 두산 중공업의 탈석탄, 탈원전 경영 촉구.
    • 대형마트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감축 촉구.

 

 

그린피스의 조직 구조

그린피스 본부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습니다. 조직 구조는 총위원회, 집행이사회, 지역이사회로 나뉘며, 50개국이 넘는 곳에 지부를 두고 있습니다. 총위원회는 각 지부 대표로 구성되어 운영 가이드를 제정하고, 집행이사회는 일상적 정책을 결정하며, 지역이사회는 전반적 운영을 담당합니다.

 

 

그린피스의 활동 원칙

  1. 해결책 제시: 환경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내고 널리 알립니다.
  2. 재정적 독립성: 정부나 기업의 재정 지원을 받지 않습니다.
  3. 글로벌 영향력: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합니다.
  4. 비폭력 직접 행동: 비폭력적인 행동을 전개합니다.

 

그린피스에 대한 비판

그린피스는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 사실이 아닌 내용과 과장된 내용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핵융합에 대한 거짓 주장이나 석유기업 쉘의 시추사업 관련 과장된 진술이 문제로 지적되었습니다. 또한, 그린란드의 원주민인 이누이트족의 천연가스 탐사를 막아 원주민의 생계를 위협했다는 비판도 받습니다. 이러한 사례로 인해 그린피스는 '과격한 환경단체'라는 혹평을 받기도 합니다.

 

 

결론

그린피스는 핵실험 반대를 시작으로 다양한 환경 보호 활동을 통해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 단체입니다. 그린피스의 활동은 많은 성과를 이루었지만, 일부 과장된 주장과 정책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린피스는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