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미세먼지란?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입자가 작은 먼지로,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가 호흡기를 거쳐 폐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건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미세먼지는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연적 원인으로는 흙먼지, 소금, 식물 꽃가루 등이 있지만, 이들은 인체에 큰 악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반면, 인위적 원인은 물건 소각, 석탄과 석유 등 화석연료의 사용,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현장 및 공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있습니다.
2.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문제
한국은 인구밀도,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단위 면적당 미세먼지 배출량이 높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발생하는 매연이 편서풍을 타고 넘어오며 국내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한국의 기후는 여름에 강수량이 집중되어 봄철 황사와 스모그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3. 미세먼지 해결 방안
- 정부
- 종합대책 수립 및 법률 제정: 미세먼지 관리와 저감에 관한 특별법 제정 및 시행(2018년 8월 제정, 2019년 2월 15일 시행).
- 재난대응 훈련: 초미세먼지 발생 시 대응할 수 있는 훈련 실시.
- 국제 협력: 중국과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인 미세먼지 문제에 대응.
- 시민사회
- 인식 제고 및 감시: 국민의 인식과 관심을 높이고, 정부 정책에 대한 감시와 제안.
- 환경재단 미세먼지 센터 운영: 교육, 홍보, 정책 연구 및 제안, 네트워크 구성 등 활동.
- 기업
- 친환경 에너지 도입: 화석연료 사용량 감소, 친환경 에너지와 기술 도입.
- 배출가스 저감 장치 설치: 산업 부문, 수송 부문, 발전 부문에서 미세먼지 배출 저감 조치 시행.
- 개인
- 생활습관 변화: 개인 자동차 이용 대신 공공교통 이용, 자전거 타기 등 친환경 이동수단 이용.
- 자동차 관리: 운전 시 공기청정 모드 사용, 정기적인 자동차 정비 및 검사.
- 불법 소각 금지: 시골이나 외곽지대에서 폐기물 소각 금지.
- 적정 온도 유지: 냉난방 시 적정 온도 유지.
4. 중국과 일본의 미세먼지 대응 노력
- 중국
- 차량 제한: 주요 도시의 차량 브랜드 제한.
- 공장 및 도시 지역 건강 교육 캠페인: 대기 질 점수가 낮은 공장과 오염 수준이 높은 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 석탄난방 금지령: 석탄난방 금지 및 대체 수단 제공.
- 전기차 도입 권장: 전기차 비율 44% 달성, 전기 버스 도입.
- 일본
- 공해대책기본법 제정: 1967년 공장 굴뚝 연기 배출 상한 규제,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 환경성 설립: 2001년 환경성 설립,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 대책 강구.
- NO디젤법: 디젤차 규제, 디젤 승용차 비율 거의 제로.
5. 역사적 사례
1952년 런던의 최악의 스모그 사건으로 인해 1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는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며, 세계적인 국제환경기구의 출범을 이끌어냈습니다.
결론
미세먼지는 감축 방법과 예방이 다른 환경문제보다 가시적입니다. 정부, 기업, 시민단체, 개인들이 노력하면 현재의 상태보다 개선될 수 있을 것입니다. 각자의 역할을 다하여 미세먼지를 줄이고 건강한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반응형
'Iss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류 충돌 방지법 (0) | 2024.07.04 |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 (0) | 2024.07.04 |
멸종위기종과 그 원인 (1) | 2024.07.04 |
골프의 인기 증가 및 환경 문제 (0) | 2024.07.04 |
못난이 농산물과 환경문제 (0) | 2024.07.03 |
기후난민(Climate Refugees) (3) | 2024.07.03 |
일회용 컵 보증금제 (0) | 2024.07.03 |
인류의 에너지 사용과 지구온난화 (0) | 2024.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