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의
생태계교란종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는 외국에서 유입되었거나 자생하는 생물 중에서 국내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을 말합니다. 이러한 생물은 생태계에 미치는 위해가 큰 것으로 판단되어 환경부 장관이 지정·고시합니다.
외래종의 구분
외래종은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원산지 또는 서식지에서 벗어나 생존하게 된 생물로 구분됩니다. 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귀화종과, 경제적·환경적으로 해를 끼치는 유해 침입외래종으로 나뉩니다.
외래종 유입 이유
- 국가 간 무역과 여행: 식물과 동물의 이동과 확산을 초래
- 애완동물의 무단 방류: 국내 생태계에 적응
- 양식이나 산업 목적으로 도입: 실패 후 자연 생태계에 정착
- 기후변화: 새로운 환경에 적응

외래종으로 인한 피해사례
- 뉴트리아:
- 유입 배경: 대구에서 사육을 위해 도입
- 피해: 낙동강 습지의 수생식물을 파괴하여 생태계 자정 능력 손상, 토종물고기 산란 방해, 농사 피해, 둑 붕괴
- 부레옥잠:
- 유입 배경: 관상용으로 도입
- 피해: 빠르게 연못과 호수를 덮어 물 부족 초래, 수중 생명체 질식
- 해충:
- 꽃매미: 중국에서 유입, 농작물 재배에 피해
- 붉은불개미: 부산항에서 최초 발견, 침에 찔릴 경우 과민성 쇼크 유발, 적응력 강함
- 빈대:
- 유입 배경: 과거 흔했으나 살충제 방역으로 박멸, 최근 인적·물적 왕래 증가로 재출몰
- 피해: 살충제 내성이 강하고 번식력이 높음
관리 및 유입 방지 방법
- 예방 및 관리:
- 조기 발견 및 신속 대응: 공항, 항구, 국경검문소에서 차단방역 강화
- 위험 평가 및 인식 제고: 외래종 방출 위험에 대한 대중과 산업계 인식 제고
- 토착 서식지 보호 및 복원: 생태계 회복력 강화
- 법적 및 국제적 협력:
- 법 강화: 생태계 보호에 관한 법 강화
- 국제 협력: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국제 협력 강화
결론
생태계 교란종은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과 관리가 중요하며, 법적 규제와 국제적 협력이 필요합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 생태계를 회복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Iss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회용 컵 보증금제 (0) | 2024.07.03 |
---|---|
인류의 에너지 사용과 지구온난화 (0) | 2024.07.03 |
오존층과 환경보호 (2) | 2024.07.03 |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 (0) | 2024.07.03 |
빛과 어둠: 빛 공해에 대한 고찰 (1) | 2024.07.03 |
불꽃놀이의 성분과 환경 오염 (0) | 2024.07.03 |
그린피스: 시작과 주요 활동 (0) | 2024.07.03 |
그린벨트: 환경 보전과 도시 확산 방지를 위한 정책 (0) | 2024.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