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개발 역사
북한에 핵무기 야욕을 키워 준 나라는 소련이다. 소련은 64년 북한 영변에 핵연구소를 건설하고 85년 핵발전소 건설협정까지 체결했다. 조건은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가입이었다. 그리고 핵발전소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이었다. 하지만 소련의 붕괴로 핵발전소 건설은 중단됐고 북한은 독자적인 핵개발로 갔다.
북핵 실험
2006년 10월9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 지하 동굴을 뚫어 만든 핵실험장 동쪽 갱도에서 첫 핵실험이 이뤄졌다. 당시 폭발력은 1kt 수준이었다. 인공지진 규모는 3.9였다.
2009년 5월과 2013년 2월, 추가 핵실험이 이뤄졌다. 핵실험 2·3차 때는 2~6kt, 6~7kt으로 강도를 높였다. 인공지진 규모도 4.5→4.9로 점점 커졌다. 실험 원료는 플루토늄에서 고농축우라늄(추정)으로 확대됐고, 핵실험장도 당초 풍계리 핵실험장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역을 넓혀왔다.
국제사회는 북한의 도발적인 핵실험 때마다 유엔 안보리를 중심으로 강력한 대응을 해왔다. 1차 핵실험 때는 유엔결의안(1718호)을 통해 북한에 무기 및 관련 품목과 사치품 공급·판매를 금지했다. 북한을 오가는 선박을 상대로 금지 물품을 적재했는지 확인하는 검색도 강제됐다. 특히 이런 제재를 위반하는 다른 국가의 개인·단체(기업)에도 금융·경제적 제재 조처가 취해졌다.
2차 핵실험 때도 유엔의 제재 결의안이 채택됐다. 북한은 무기의 수출입과 이전, 대량무기살상 개발에 관련된 금융거래, 무상원조와 외국에서 돈을 빌려올 길이 차단됐다.
3차 핵실험 때는 대량살상무기와 관련된 금융거래 금지를 강제화하고, 경주용 자동차와 고가 보석 같은 사치품의 수출입을 막아 북한 고위층을 직접 겨냥했다. 3차 핵실험은 김정은 체제에서 첫 핵실험이었다.
2017년 9월3일 북한이 제6차 핵실험을 했다. 북한은 2017년 9월 3일 6차 핵실험에서 50kt(킬로톤)의 폭발 위력을 가진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핵물질을 순간적으로 압축해 핵폭발을 유도하는 해당 기술의 개발을 위해 1980년대 후반부터 200여 차례 이상의 실험을 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북한은 여섯 차례 핵실험 가운데 초기 세 차례는 일반적인 핵분열탄 시험을 실시했고, 4·5차는 증폭 핵분열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6차 핵실험은 당일 아침 공개한 장구형 물체로 보아 다단계 방식으로 판단된다.
'World Poli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100' 이란? 탄소 중립 대세의 상징 (0) | 2022.06.30 |
---|---|
우주개발의 역사와 뉴 스페이스 (0) | 2022.06.30 |
북한의 ICBM 사거리와 재진입기술은 어디까지? (0) | 2022.06.30 |
원자폭탄 vs 수소폭탄, 북한은 수소폭탄을 가지고 있을까? (0) | 2022.06.30 |
G6 → G7 → G8 → G7 그리고 G20 (1) | 2022.06.28 |
군사주권 없는 한국, 전작권 전환의 역사 (0) | 2022.06.28 |
세계은행 총재는 미국, 국제통화기금 총재는 유럽 (0) | 2022.06.27 |
핵무기 개발의 역사, 대한민국도 최소 6개월 안에 핵무장 가능! (0) | 2022.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