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가 ‘입춘’이다. 입춘을 맞아 집집마다 대문이나 대들보, 천장에 좋은 뜻의 문구인 입춘첩(立春帖)을 써 붙이는 전통적인 풍습이 있다. 입춘첩은 입춘방(立春榜), 춘첩(春帖)이라고도 하는데 입춘을 맞아 액운을 막고 다복과 경사를 기원하는 내용이다.
입춘첩 내용으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이 있다.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따뜻한 기운이 도니 경사가 많다'는 뜻이다. 그리고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고, 자손은 만대까지 번영한다'는 내용도 자주 쓴다.
그리고 '수사산 복여해(壽似山 福如海), 건강은 산같이 푸르고 행복은 바다처럼 넘쳐라', '거천재 래백복(去千災 來百福), 온갖 재앙은 사라지고 많은 복은 들어 온다', '우순풍조 시화연풍(雨順風調 時和年豊), 비가 순조롭게 내리고 바람이 고르게 부니 시절은 화평하고 풍성하도다', '수비남산 복여동해(壽比南山 福如東海), 수명은 푸른 남산의 솔과 견주고 복은 동해바다의 물처럼 넘쳐라', '천재춘설소 만복운집기(千災春雪消 萬福雲集起), 모든 재앙은 봄눈 녹듯이 사라지고 행복은 구름 일어나듯이 몰려온다' 등 하나같이 좋은 내용을 입춘첩에 주로 쓴다.
입춘첩은 대문 앞에 붙이는 것을 기본 형식으로 한다. 여덟 팔(八)자 형태로 '입춘대길 건양다경' 등의 글귀 첩을 붙인다.
반응형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 vs 명태 vs 동태 vs 황태 vs 노가리 vs 코다리 (0) | 2023.02.03 |
---|---|
돈도점수 vs 돈오돈수, 성철 스님 vs 법정 스님 (0) | 2023.02.03 |
스포츠의 기원, 유희 vs 사냥 vs 전쟁 기원설 (0) | 2023.02.03 |
커피의 유래와 가배 vs 모카 vs 아메리카노 vs 커피믹스 (0) | 2023.02.02 |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법, 단점, 가입조건은? (0) | 2023.02.02 |
난방비 절약법, 보일러 '외출'기능 vs 단열재 사용 (0) | 2023.01.30 |
빈 소년합창단의 유래 및 공연일정 (0) | 2023.01.28 |
그리스 로마 신화 '영웅의 시대', 아이네아스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