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1공화국과 제2공화국
1949년 7월 4일 지방자치법 제정 후 동년 8월 15일 지방자치를 실시한다는 규정이 있었지만, 지방선거가 실시되지 않음
이후 비난이 거세지자 동년 12월 15일에 지방자치법 제1차 개정을 통해 지방자치 실시 연기함
6. 25 전쟁 발발 이후 1952년 임시수도인 부산에서 지방의회 선거 실시 공표 그러나 일부 지역 실시하지 않음, 당시 기초자치단체장은 간선제로 지방의회에서 선출
그 후 1956년 2월 13일 지방자치법 2차 개정을 통해 직선제 도입
제2공화국 탄생 후 1960년 11월 1일 지방자치법 제5차 개정을 통해 주민이 직접선거에 의해 기초·광역자치단체장 선출
2)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
1961년 5월 군사정부가 전국의 지방의회를 해산
동년 9월 16일 법 제정하여 자치 기능을 정지시킴
이후 지방자치는 헌법에만 기재되어 있을 뿐 시행되지 않음
1972년부터 제 4공화국 유신헌법 부칙 제10조에서 “이 헌법에 의한 지방의회는 조 국통일이 이루어질 때까지 구성하지 아니한다”고 규정 따라서 지방자치를 실시하지 않음
3)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
제5공화국 헌법에도 조항만 있을 뿐 시행되지 않음
이후 1980년대 중·후반 국민인식 변화로 집권세력이 지방자치 전면 부정하기 어려워짐
1989년 3월 9일 지방자치법 개정하고, 동년 4월 30일까지 기초자치단체 의회 구성
1991년 3월까지 지방의회를 구성하고, 1992년 6월까지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실시
1991년 3월에 지방의회가 구성되어 지방자치시대의 막이 다시 오름
1995년 6월 27일에는 지방의원 선거와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가 실시됨
'Korean Poli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공무원제도와 지방공무원 (0) | 2023.04.12 |
---|---|
지방행정의 정의와 특징 (0) | 2023.04.07 |
세계도시(World City) vs 메가시티(Mega-City) (0) | 2023.04.07 |
지방자치의 유형 (0) | 2023.04.07 |
지방자치단체의 구성, 주민 vs 지방의회 vs 집행기관 (0) | 2023.04.05 |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유형 (0) | 2023.04.05 |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일반지방자치단체 vs 특별지방자치단체 (0) | 2023.04.05 |
국회의원 법정구속 vs 구속영장 vs 체포동의안 vs 불체포 특권 (0) | 2023.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