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그리스 로마 신화 '영웅의 시대', 디오니소스 vs 바쿠스 vs 박카스

by 누름돌 2023. 1. 27.
반응형

영웅 종족은 신과 인간 사이에서 태어나는 반신반인(半神半人)이다. 이들의 특징은 부모인 신과 인간의 특징을 모두 가졌다는 점이다. 하지만 갖지 못한 신의 능력과 영원불멸에 대한 욕망을 품고, 신의 영역에 끊임없이 도전하지만 인간의 한계에 부딪혀 몰락이라는 비극적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

 

신이 인간과 사랑을 나누면 태어난 영웅 종족은 트로이 전쟁에 많은 영웅이 참전하고, 트로이 전쟁이 끝난 이후 영웅들은 세상에서 사라졌다고 전해진다.

 

 

 


 

 

최고의 신 제우스를 모시는 여사제로 알려진 인간 세멜레에게 사랑에 빠진 제우스는 인간의 모습을 하고 다가가 사랑하고 이들 사이에 아들이 태어나니 그가 디오니소스(Dionysos)다. 이를 질투한 헤라의 핍박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고통을 견딘 디오니소스는 태생의 한계를 넘어 신으로 거듭난다.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농사와 포도 재배하는 법, 술 제조법 등을 인간에게 전파하고,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든 디오니소스는 신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주택가에서 종종 보이는 호프 체인점인 <디오니스>는 술의 신 디오니소스를 이용한 이름이다.

 

 

 

 

 박카스 vs 바쿠스

 

디오니소스는 포도와 포도주의 신이다. 로마신화에서는 '바쿠스'로 불린다.

 

박카스는 동아제약의 강신호 명예회장이 직접 이름을 지은 것으로, 50년대 서독에서 유학한 강 회장이 우연히 방문한 함부르크 시청 지하 홀 입구에서 술과 추수의 신 바쿠스(Bacchus) 석고상을 본 뒤 귀국해 박카스라는 이름을 지었다.

 

간을 보호하는 효과로 주당을 지켜주고 풍년이 들도록 도와주는 바쿠스를 우리말 어감에 맞게 바꾼 게 박카스이다.

 

2020년 국내 제약업 최초로 박카스는 단일품목으로 매출 30003000억 원을 넘었다. 현재 ‘박카스’는 국민 드링크에서 글로벌 드링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필리핀, 중국, 베트남 등에서도 절찬리 판매되고 있다. 특히 캄보디아에서 국민 음료로 자리 잡았다. 외국에서 판매되는 박카스는 캔 형태가 대부분이다.

 

 

 

박카스는 1963 8월부터 드링크 병의 박카스-D'를 발매했다. 2011년부터는 일반의약품에서 약국 이외 장소에서도 판매할 수 있는 의약외품으로 전환했다. 박카스D는 약국용, 박카스 F는 편의점용으로 구분된다.

 

요즘은 조금 기울어졌지만, 동아제약은 자양강장제 ’박카스‘, 종합감기약 ’판피린‘, 구강청결제 ’가그린‘ 등의 히트 제품으로 1967년부터 2012년까지 무려 45년간 명실상부한 국내 1위 제약사였다. 동아제약을 국내 1위 제약사의 반열에 올려놓은 주역이 강신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