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도시(World City) vs 메가시티(Mega-City)
사회가 변화면서 지방의 한 유형인 초국적 활동의 중심지로서 세계도시(World City)와 메가시티(Mega-City)가 등장하였다. 세계도시와 메가시티의 정의와 차이점 세계도시는 초국적기업의 본사와 더불어 국제적인 금융, 법률, 정보, 컨설팅, 회계, 미디어 회사 등 생산자서비스업이 집중된 곳으로 전 세계 경제, 금융, 무역 활동을 조절⋅통제할 수 있는 중심지이면서 동시에 정치⋅행정⋅문화 등에서 범세계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도시를 말한다. 그렇기에 언어, 문화, 종교 등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세계도시의 예로 최상위 세계도시로는 영국 런던, 미국 뉴욕, 일본 도쿄가 있고, 상위 세계도시로는 프랑스 파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브라질 상파울루, 벨기에 브뤼셀, 독일 프랑크푸르트, 미국 시카고⋅로스..
2023. 4. 7.
지방자치단체의 구성, 주민 vs 지방의회 vs 집행기관
지방자치단체는 크게 주민, 지방의회, 집행기관으로 구성된다. 지방의회는 지방의원들이 중심이 되어 자치입법권을 행사하고, 집행기관은 단체장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을 담당한다. 1. 주민 1) 주민의 의의 : 지방자치법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안에 주소를 가진 자를 주민으로 규정하고 있다. 2) 주민의 권리와 의무 : 주민은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주민은 지방자치단체의 구성, 정책과정 등에 직, 간접으로 참여하여 지방자치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지방자치단체에 일정한 권리와 의무를 갖는 주체이다. ⑴ 주민의 권리 : 주민의 대표적 권리에는 선거권, 피선거권, 주민투표권, 조례제정 개폐청구권, 주민감사청구권, 주민소송권, 주민소환권, 청원권, 수익권 등이 있다. ① 선거권 : 주민이 ..
2023. 4. 5.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일반지방자치단체 vs 특별지방자치단체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법에 의하면 지방자치단체는 일반지방자치단체와 특별지방자치단체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지방자치단체는 종합적인 목적을 가진 지방자치단체로서 특별시, 광역시, 도, 시, 군, 자치구 등을 말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2022년 1월 13일에 정한 4개의 특례시도 일반지방자치단체에 속한다. 특별지방자치단체는 특정 목적을 가진 지방자치단체로서, 지방자치단체조합, 교육구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반지방자치단체 일반지방자치단체는 보통지방자치단체로 불리는 것으로서, 우리가 지방자치단체라고 말할 경우 일반지방자치단체를 말한다. 일반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발전과 주민들의 복리증진이라는 일반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종합적, 포괄적 특징을 갖는 지방자치단체이다. 일반지방자치단체의 종류는 나라에 따라..
2023. 4. 5.